들어가며 - 인프런 김영한 님의 빈 생명주기 강의 정리 입니다. - 강의의 예시를 가져와 보자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 해야 하는 객체를 생성 한다고 가정 할 때 다음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객체가 생성 됨과 동시에 모든 의존 주입을 마친다면 url 과 같이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주입 해야 하는 데이터의 경우 원치 않는 값으로 생성 되게 됩니다. . 또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 되기 직전에 스프링 빈을 안전하게 소멸 시켜야 안전한 종료가 가능 합니다. 스프링 빈의 생명주기 -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스프링 종료 - 위의 생명주기를 따르게 되면 빈이 생성 된 후 의존 관계를 주입 하게 되고 사용 준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