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구축 - Colab 사용해보기
보통 자신의 컴퓨터에서 머신러닝을 공부 하기 위해 Anaconda 에서 spyder 라는 가상 노트북을 통해 코드를 편집 합니다.
하지만 본인의 컴퓨터 사양이 낮거나 컴퓨터에 추가로 설치하기 꺼려 진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가상 노트북인 'Colab' 을 사용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Colab은 클라우드 기반의 주피터 노트북으로 Colab 에서 CPU 와 램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본인의 컴퓨터 성능과 관계없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습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https://colab.research.google.com/?hl=ko
Google Colaboratory
colab.research.google.com
구글 계정이 없다면 구글 계정을 만들고 위 주소로 들어가게 되면 바로 코드를 편집하고 실행 해 볼수 있는 환경이 제공 됩니다.
- 새 노트를 만들어 프로그램을 실행 하고 싶다면 새노트를 클릭하면 자동 생성 되며, 구글 드라이브, 깃허브의 코드를 가지고 와서 편집 하고 싶다면 해당 탭을 눌러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새로 만들어진 코드는 자동으로 구글 클라우드에 저장 됩니다.
- 파일을 열게 되면 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되는데 코드를 입력하고 다음과 같은 단축키를 누르거나 실행 하고자 하는 쉘의 좌측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쉘이 컴파일 된후 실행 됩니다. 이때 자동으로 가상 노트북과 연결되지만 수동으로 연결 버튼을 눌러서 연결 시킬 수 있습니다.
- 파이썬 코드로 예를 들어 보자면 이런 식으로 아래 결과가 출력 됩니다.
- 좌측 탭을 열어 원하는 문자를 탐색하고 변경 할 수 있으며 파일의 트리를 보고 원하는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확인 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Colab 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이었습니다.